Universal Analytics 를 활용하는 사이트에서 구글애널리틱스 맞춤 측정 기준 태깅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번외로 구글태그매니저와 데이터레이어를 활용한 맞춤 측정 기준 태깅 방법도 설명하고자 합니다.
소셜 분석 책을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회사를 옮긴 것 만큼 중요한 일이 또 있었네요. 바로 2014년 2월에 드디어 소셜분석이라는 제목의 책을 발간하게 된 것입니다. 2012년 12월에 퇴고를 한 책을 1년이나 지난 시점에 세상에 선보이다 보니 그 사이 페이스북 인사이트가 2번이나 개편이 돼 어쩔 수 없이 두 번이나 원고를 대거 수정을 했었지요.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이 블로그를 통해 평소 이야기하던 주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제 힘으로 써 내려가다 보니 머리 속도 정리되고 또 더많은 공부를 할 수 있어 정말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블로그 게시글 한 켠이나마 빌어 돈이 안 될 책인 것이 뻔히 보이는데도 골머리 앓아가며 교정을 봐 주시고 출판을 해 주신 블로터(http://www.bloter.net) 김상범 대표님과 일개 블로거에 불과하던 저를 알아봐주고 밖으로 뻗어 나가는 기회를 주신 김철환 본부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구글 태그 매니저를 활용하여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추적 자동화 시키기
최근 구글 애널리틱스 강의를 할 기회가 종종 있습니다.
놀라운 것은 수강하시는 분들에게 Goal (목표)를 설정해 놓고 리포트들을 목표 달성 기준으로 조회하는지 물어 보면 현재까지 강의를 한 경험으로는 한 명도 손드는 사람이 없었다는 점입니다.
웹 분석 1.0 시절과 오늘 날의 웹분석 2.0 시대를 가르는 극명한 기준 중에 하나가 웹사이트 분석을 단순 유입, 유출의 트래픽 기준으로 보느냐, 아니면 아니면 자사에서 웹사이트를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목적의 달성에 기여하는 특정 행동을 방문자가 해 주느냐라는 관점의 전환 기준으로 보느냐이라고 웹분석 분야의 분야의 구루인 아비나쉬 씨는 주장을 하지요...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 삽입 방법
구글 애널리틱스 추적 코드 삽입하는 법에 대한 매뉴얼 pdf 와 동영상이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시작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시작할지 질문하는 경우도 꽤 많아 수강자들을 위해 만든 자료인데,허접하고 불친절한 자료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올립니다~
디지털 다위니즘 시대, 소셜 CRM 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한 전제 조건
여기서 다윈이 한 말을 다시금 되새겨 보자.
It is not the strongest of the species that survives, nor the most intelligent that survives. It is the one that is most adaptable to change.
(생존하는 것은 가장 강력한 종족도, 가장 똑똑한 종족도 아니다. 변화에 가장 적응 잘 하는 종족이 생존한다)
링크 태깅 = 캠페인 트래킹 코드 삽입의 힘!!
바닥에 오래 있다 보니 나에게는 아주 쉽고 간단한 개념이 이 분야에 처음인 분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개념이고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하게 되는 듯
2013 Adobe Digital Marketing Summit 참관 후기
2012년에 이어 올해에도 어도비 디지털 마케팅 써밋 행사 (http://summit.adobe.com/)에 오게 되었습니다. 워낙 비싼 행사이다 보니 2년 연속 오는 사람은 미국 내에서도
웹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 ROI 분석하기 실전연습
오늘 제가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소셜 + 웹" 분석입니다.
결국 소셜도 웹이고, 소셜미디어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별 소셜미디어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만 들여다보기 보다는 소셜미디어 지표 데이터와 웹데이터를 연동 분석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가 더 풍부하고, 소셜미디어 활동과 비즈니스 성과 간의 연관관계도 더 명확gl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소셜과 웹 연동 분석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실제 분석 사례와 관련 분석 화면을 가지고 설명해 보고자 합니다.
세그멘테이션의 중요성
오늘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고객 세그멘테이션 분석입니다. Semphonic 에서 최근 발표한 백서인 "Everything You Know About Digital Measurement is Wrong...and What to Do About It" 이라는 자료에서 그 중요성을 새삼 강조하는 글을 읽다 보니, 제 블로그에서도 한번쯤 심도 깊게 다루어야 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우선, 분석에서 고객을 나누어 보는 일이 왜 중요한지, A 헤어샵과 B헤어샵의 예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물론, 실제 헤어 샵의 상황은 보다 복잡하겠지만, 단순화 시켜 보겠습니다.
디지털 마케팅의 정의 그리고 이상적인 디지털 마케팅 모습에 대한 단상
최근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마케팅을 제 나름의 언어로 새롭게 정의하고 이상적인 디지털 마케팅의 모습은 어때야 하는가에 대해 깊이 고민을 하는 기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