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빅데이터 시대… 그러나, 데이터는 데이터일 뿐…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발달로 디지털 콘텐츠는 말 그대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근 길에 좋은 뉴스와 정보를 발견하면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에 공유하고, 카카오 톡을 통해 지인들에게 안부인사를 전하고, 댓글을 쓰고, 쇼핑을 하고, 밥 먹기 전 먹음직스러운 메뉴 사진을 공유하고, 길을 지나다 눈을 끄는 어여쁜 꽃이 있으면 사진 찍어 업로드하고, 저녁에 친구와 모임 자리에서 포스퀘어로 위치 정보 한 번 찍어 주고......

우리가 하루 하루를 살면서 우리 자신에 대해 흘리고 다니는 디지털 신호들은 생각보다 많고 앞으로 더욱 많아질 것입니다. 이에 대해 2012 Adobe Digital Summit(http://summit.adobe.com)에서는 Digital Self, 즉, 디지털 자아라는 비유를 했는데요...

1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소셜 CRM 구현하기

소셜 공간에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알쏭달쏭 퀴즈가 또 하나 있습니다.
“고객이 소셜 공간에서 팔로잉하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브랜드 옹호 심리가 높아지는가? 아니면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옹호 심리가 높기 때문에 기업과 소셜 공간에서 소통하는가?” 하는 이슈입니다.

0

소셜 분석(Social Analytics)의 유용성

책쓰려고 작성해 놓았던 원고를 결국은 더피알에 보냈습니다. 어떻게 각색 돼 게재될 지 모르겠지만, 일단 원문은 보존해야 겠기에, 제 블로그에 공개합니다.

소셜 분석(Social Analytics)의 유용성

소셜미디어는 홍보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고객 인사이트로서의 원천으로서도 큰 가치를 지닌다. 소셜 분석이 실질적으로 기업과 기관에게 어떤 가치를 지니는 지 그 구체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소셜 분석 도입을 고민하는 기업 및 정부, 기관 등의 담당자들에게 그 유용성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0

[공유]소셜 분석과 Business Intelligence 세미나 발표 자료

지난 4월 28일에는 소셜미디어 경영전략과 성공모델 세미나에서 "Social Analytics 를 통한 Business Intelligence" 라는 거창한 제목으로 세미나 발표를 했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홍보, 마케팅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데이터 자체의 가치로 주목을 받을 시점이 곧 올 것이라는 이야기는 꼭 한번쯤은 다루고 싶었던 주제였기에 기쁜 마음으로 준비했었습니다.

4

[강의자료 공유]소셜미디어 성과측정 및 ROI

작년 세미나 이후 오랜만에 소셜미디어 ROI 에 대해 강의를 했습니다. 약 1년의 시간 동안 그래두 나름 저만의 방법론을 만들 수 있었는데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너무 좋았습니다.
제가 이번에 정리한 방법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 가지 이론들과 사례를 보며, 제가 생각한 방법론은 아래와 같은데요. 하단에 첨부한 강의 내용 중 p34 가 제 아이디어의 정수를 담은 페이지인데 좀 허술하네요. 조만간 별도 포스팅으로 보완하겠습니다.

0

[사례연구]트위터 레퍼러 분석을 통한 영향력 측정하기

트위터에서 팔로워 수가 많아 인기가 많다는 것과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웹사이트로의 유입을 확대하는 것과 같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또한, 로그 분석 데이터를 통해 트위터 닷컴의 검색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비율보다 자신들이 의도적으로 트위터에 내보내는 글들이 더 많은 트래픽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훨씬 더 많은 페이지를 훨씬 더 오랫동안 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