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셜 인사이트 LAB 주인장 오뚜기입니다.
저 오뚜기가 영광스럽게도 3월 20일부터 3월 23일까지 진행된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마케팅 컨퍼런스
Author: Sun Young Kim
데이터는 결국 통합돼야 한다…
제목이 참으로 당위적입니다... 그런데 저는 진짜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소셜 대화 데이터가 됐건, 웹 로그 데이터가 됐건, 매장의 POS 데이터가 됐건,
소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넘어 소셜 CRM 구현하기
소셜 공간에는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와 같은 알쏭달쏭 퀴즈가 또 하나 있습니다.
“고객이 소셜 공간에서 팔로잉하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브랜드 옹호 심리가 높아지는가? 아니면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옹호 심리가 높기 때문에 기업과 소셜 공간에서 소통하는가?” 하는 이슈입니다.
소셜 CRM 의 출발점은???
아침 출근 길에 맞딱뜨린 문구가 계속 맴맴 돌아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 올립니다.
"소셜미디어 ROI 는 마케터들이 자신들의 고객 프로필을 자신의 페이스북
소셜 분석(Social Analytics)의 유용성
책쓰려고 작성해 놓았던 원고를 결국은 더피알에 보냈습니다. 어떻게 각색 돼 게재될 지 모르겠지만, 일단 원문은 보존해야 겠기에, 제 블로그에 공개합니다.
소셜 분석(Social Analytics)의 유용성
소셜미디어는 홍보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고객 인사이트로서의 원천으로서도 큰 가치를 지닌다. 소셜 분석이 실질적으로 기업과 기관에게 어떤 가치를 지니는 지 그 구체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소셜 분석 도입을 고민하는 기업 및 정부, 기관 등의 담당자들에게 그 유용성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공유]소셜 분석과 Business Intelligence 세미나 발표 자료
지난 4월 28일에는 소셜미디어 경영전략과 성공모델 세미나에서 "Social Analytics 를 통한 Business Intelligence" 라는 거창한 제목으로 세미나 발표를 했었습니다. 소셜미디어가 홍보, 마케팅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데이터 자체의 가치로 주목을 받을 시점이 곧 올 것이라는 이야기는 꼭 한번쯤은 다루고 싶었던 주제였기에 기쁜 마음으로 준비했었습니다.
[강의자료 공유]소셜미디어 성과측정 및 ROI
작년 세미나 이후 오랜만에 소셜미디어 ROI 에 대해 강의를 했습니다. 약 1년의 시간 동안 그래두 나름 저만의 방법론을 만들 수 있었는데 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 너무 좋았습니다.
제가 이번에 정리한 방법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러 가지 이론들과 사례를 보며, 제가 생각한 방법론은 아래와 같은데요. 하단에 첨부한 강의 내용 중 p34 가 제 아이디어의 정수를 담은 페이지인데 좀 허술하네요. 조만간 별도 포스팅으로 보완하겠습니다.
[사례연구]트위터 레퍼러 분석을 통한 영향력 측정하기
트위터에서 팔로워 수가 많아 인기가 많다는 것과 트위터를 통해 자신의 웹사이트로의 유입을 확대하는 것과 같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고 볼 수 있을 듯 합니다. 또한, 로그 분석 데이터를 통해 트위터 닷컴의 검색 등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비율보다 자신들이 의도적으로 트위터에 내보내는 글들이 더 많은 트래픽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훨씬 더 많은 페이지를 훨씬 더 오랫동안 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소셜미디어 전문가 Brian Solis 의 트위터버스
Brian Solis 가 주축이 돼 리서치, 배포한 트위터버스 2011 버전... 트위터를 둘러싼 애플리케이션들이 이렇게 많군요....
해쉬 태그 분석 이야기 하나 소개
지난 주말에는 Hash Tag 분석에 대한 참으로 흥미로운 책 한 권을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저자인 Kevin Hillstrom 역시 저처럼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CRM 분석 쪽에서 경력을 쌓다 소셜 데이터의 흥미로움에 끌려 소셜 분석 쪽에 발을 담궜더군요.
특히, CRM 의 다양한 분석 기법을 소셜데이터에 적용하는 시험을 하고 실제로 의미있는 인사이트를 얻고 있었습니다.
저자는 소셜미디어 내의 특정 커뮤니티 내에서 한 명의 영향력 자를 마케터가 파악하게 되면 그 영향력자를 통해 커뮤니티의 방향성을 어느 정도 조작 가능하다는 접근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습니다. 즉, 한 명의 영향력자의 힘에 대해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지요.
하여 저자는 Mack Collier 라는 영향력자가 주최하는 #blogchat 이라는 매주 일요일 저녁 소셜미디어 토픽에 대해 이야기하는 소셜미디어 커뮤니티를 실험 대상으로 삼아 #blogchat 과 관련된 대화 데이터를 4개월 간 수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