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구글 애널리틱스 강좌 2]대쉬 보드 및 그래프 보기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 분석을 위한 준비가 완료됐다고 가정을 하고 실제 리포팅 페이지 보기의 기초인 대쉬보드 및 그래프 기능을 설명할 예정입니다.

앗참, 그 전에 구글 애털리틱스 프로필에 대한 개념을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리포팅은 프로필 별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석해야 될 웹사이트에 대해 분석과 관련된 설정 값을 저장한 한 세트를 보통 프로필이라고 하는데요, 구글 애널리틱스 이용자들은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개의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즉, 구글 계정 이용자들은 여러개의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을 가질 수 있고, 개별 구글 애널리틱스 계정에 여러 웹사이트에 대한 분석 설정 (프로필)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소셜미디어 ROI 측정의 원칙 및 관련 사례 몇가지

"소셜미디어 ROI 측정"이라는 주제는 소셜미디어라는 매체가 급부상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Hot 한 이슈가 되어 인구에 회자가 되고 있습니다. 사실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부터 ROI 에 대한 논란은 있어왔던듯 합니다. 웹사이트 트래픽 관련 지표인 방문자 수, 페이지 뷰와 같은 개념들이 정립되고 "트래픽이 높은 웹사이트 = ROI 가 높은 웹사이트"라는 공식이 온라인 바닥에서는 거의 상식 수준이 되었지만,

2

중소상공인에게 소셜 데이터 분석이 과연 가치가 있을까요?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상식적인 선에서 글이 있을거다, 없을거다라고 가정을 했다간 여지없이 예상을 뒤엎는 경향이 있는지라,
리소스는 들지만 자체 검증 작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

추진하는 프로젝트와 연관성이 높고 지역기반 데이터가 강한 녀석들을 임의로 선정하다 보니 최종적으로 아래와 같이 조사 대상 아이템을
선정하였습니다.

1) 치킨, 치맥
2) 보쌈

1

[Sysomos 발표 요약] 2009년 대비 2010년 트위터 이용 행태 변화

2009, 2010년 간의 트위터 이용 행태 비교 주요 내용
- Users with 100+ friends have increased by three-fold to 21% since 2009.
(100명 이상의 친구를 가진 유저 수는 2009년 대비 3배 증가하여 21%의 비중을 차지)
- 22.5% of users accounted for about 90% of all activity.
(상위 22.5%의 이용자가 90%의 전체 활동량을 차지)
80% users have made fewer than 500 tweets.
- 80% 가량의 이용자들은 500트윗 미만 수준으로 활동
Significantly more users are disclosing their location, bio and web information in Twitter profiles.
- 자신의 위치, 바이오, 웹 정보를 트위터 프로필에 노출하는 이용자 수 급격히 증가

4

[구글 애널리틱스 강좌 1] 구글 Analytics 계정 생성 및 트래킹 코드 삽입

Google Analytics 는 Web Based Service 이기에 우선, 접속 주소를 아셔야 합니다.
접속 주소는 http://www.google.com/analytics/ 이며, 접속하면 아마도 아래와 비슷한 페이지가 뜰 것입니다.
(혹시, 페이지가 영어로 뜨면 상단의 언어 선택을 한국어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

3

소셜미디어 키워드 분석 방법 소개

Visualize Verbal Maps – Social Media Analytic 라는 기사를 보다 보니 짧은 시간에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곤 했던 키워드 분석 방법론과 비슷한 면이 있어 이번 기회에 "키워드 분석 방법과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4

소셜미디어 모니터링과 ROI

리서치 회사에서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깊이 파고들며, 제가 몸소 체험한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진정한 가치는 최적화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하기 위한 기반이 될만한 Customer insight 를 얻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즉, 모 TED 강연에서 "Data is New Soil and Oil" (데이터는 새로운 토양이지 에너지원이다..)라고 주장한 것처럼 소셜데이터는 기업에게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고, 소셜미디어 유관 부서 및 담당자는 이 데이터를 유의미하게
해석하여 회사에 제공하는 핵심 역할을 함으로써 스스로의 존재 가치를 격상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관점에서 소셜미디어 모니터링 및 분석이 어떻게 유의미한 Customer Insight 를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재미있는 사례 하나를 소개합니다.

0

소셜 전략 수립 전 소셜 고객 프로필 분석하기 – 소셜테크노그래픽스 Howto

오늘은 기업에서 소셜미디어를 도입하기 전 전략 수립 단계에서 조금은 시행 착오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고객 프로필 분석 방법론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포레스터 사는 전 세계 여러 국가들의 수백 가지나 되는 브랜드들에 대해 고객들의 소셜미디어 기술 활용 수준 및 참여 수준을 조사하여 6개의 등급을 나누었는데요. 그 등급과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0

마케터가 주목해야 할 다음 10년의 모습..

최근 출근 길에 우연히 듣게 된 TED 영상인 Seth Priebatsch의 "The game layer on top of the world" 내용...
전율이 일 정도로 향후 10년의 단편을 잘 예측해 놓은지라 내용을 되짚어 보고자 합니다.
"소셜CRM"을 기치로 현재의 소셜인사이트LAB 블로그를 운영하는 계기를 구구절절히 설명하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1

페이스북 페이지에 Google Analytics 코드 삽입하기

페이스북에서는 FBML 을 이용하여 나만의 Welcome 페이지와 같은 맞춤 형 페이지를 별도로 만들수 있습니다.

이 나만의 페이지의 경우 html 컨트롤이 가능해 GA 코드 삽입도 가능한데요,

오늘은 GA 코드를 생성하여, Facebook Static FBML 에 추가하는 방법을 Step By Step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