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트위터 KPI 수립을 위한 심층분석 툴 소개

최근 기업 트위터 계정이 늘면서 기업 내 트위터 담당자 분들을 개인적으로 만날 기회가 몇 번 있어, 이 분들의 고충이라고나 할까 운영의 에피소드라고나 할까 하는 이야기를 생생하게 들을 수 있었는데요

한 가지 안타까왔던 것은 트위터 운영의 실적 평가를 Follower 수로 하다 보니, 담당자 분들의 Follower 수에 대한 심적 압박감이 장난이 아니고, 그러다 보니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Follower 늘리기 이벤트를 하는데, 이벤트를 하면 정작 내 회사와 제품, 브랜드와 연관이 높은 고객보다는 충성도 제로, 체리 피커들의 경품 사냥에 회사의 귀중한 예산을 고스란히 가져다 바치는 꼴이 되는 경우가 종종 벌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이에 기업 내에서 트위터 계정 운영에 대한 KPI 로 삼을 만한 몇 가지 지표와, 이런 지표 데이터를 보여주는 트위터 심층 분석 툴들을 몇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1. 트위터 그레이더 (twittergrader.com)

twitter-grader

twitter-grader

2. Klout (klout.com)

klout-score

klout-score

Klout Score 는 특히, 그 공신력을 인정받아 여러가지 다른 트위터 애플리케이션에서도 Klout API 를 통해 Klout Score 데이터를 가져와 다양하게 활용하고있습니다.

아래는 Hootsuite 이라는 유용한 트위터 웹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Klout Score 를 이용해 자신의 Time Line 을 필터링해 볼 수 있는 화면입니다.

여유가 있을 때는 타임라인에 오르는 글을 이것 저것 흥미롭게 보겠지만, 짜투리 시간을 이용/정보 습득을 위해 타임라인을 본다면 영향력 점수라고 볼 수 있는 Klout Score 기준으로 필터를 걸어 놓고 쭉 훑어 보는 것도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단, 필터를 너무 쎄게 걸면 그만큼 못보는 사람이 많아지니 Klout Score 를 몇 점 기준으로 필터를 걸 것인지는 잘 판단해 보아야 할 듯 합니다.

참고로 저의 Klout Score 는 11점인지라 10점을 해 놓아야 제 글이 보이겠네요 ^^;;

hootsuite-filter

hootsuite-filter

3. Twitalyzer(twitalyzer.com)

마지막으로 소개드리고자 하는 툴은 Twitalyzer 입니다. 웹분석 쪽에서 유명한 컨설팅 회사인 Web Analytics Demystified, Inc.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제 개인적으로는 여기 이 회사에서 제공하는 지표 몇 가지만 꾸준히 월 별로 트래킹한다면 자사의 Twitter 운영에 대한 건강 신호를 제대로 체크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 아래의 다양한 지표 중에서도 꼽으라면 Impact, Influence, Clout, Klout Score (Klout 사이트 굳이 방문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Retweets per 1K Followers (팔로워 1,000명 당 RT된 횟수), References per 1K Followers (팔로워 1,000명 당 멘션받은 횟수), List 된 횟수를 선택하고 싶으며, 주단위, 월단위 엑셀로 기록해서 그 추이를 보고 스스로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고민할 듯 합니다.

더 나아간다면 이렇게 기록을 남긴 데이터 옆에 해당 기간 동안의 방문자 수, 매출액, 이벤트 참여자 수, 트위터에 공유한 링크 클릭율 같은 걸 같이 기록해서 상관분석, 회귀 분석을 꾸준히 돌린다면 특히, 어떤 지표가 링크 클릭을 유도하고, 방문자 수를 높이고, 매출액을 높이고, 이벤트 참여자 수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지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Twitalyzer-metrics

Twitalyzer-metrics

정리하며…

최근 진행한 <소셜미디어 운영 및 성과 분석 과정> 수업 중에 모든 KPI 는 Business Goal 에 잘 부합되어야 한다고 몇 번 강조했었는데요…

결국은 우리 회사에서 이 Twitter 계정을 왜 열었고, 이 Twitter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통해 궁극적으로 무엇을 얻고자 하는 지에 따라 KPI 를 정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팔로워 수라는 지표는 전혀 의미가 없지는 않지만, 팔로워 수가 해당 트윗 계정 이용자의 트윗 내용의 알찬지 여부와는 상관없이 기계적으로 팔로우, 언팔 행위를 반복하기만 해도 몇 일 사이에 뻥틔기가 될 수 있는 국내 트윗 현실에서는 Main KPI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게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팔로워 수 보다는 자사의 알찬 정보가  트위터 이용자들에게 얼마나 많이 알려 졌는지, 고객들로부터 얼마나 많은 RT, Mention 과 같은 공감 행위를 받았는지를 기준으로 성과 측정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래는 개별적으로 필요한 분을 위한 pdf 버전 입니다.

트위터심층분석툴

Share and Enjoy:
  • Print
  • Digg
  • del.icio.us
  • Facebook
  • Yahoo! Buzz
  • Twitter
  • Google Bookmarks
  • Add to favorites
  • email
  • FriendFeed
  • Google Buzz
  • LinkedIn
  • RSS
  • Tumblr

Sun Young Kim

4 Comments

  1. 궁금한게 있습니다.
    klout score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점수나 지표는 나오지 않고

    프로필에 40%라고만 나오는데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 http://klout.com/kscore 에 가시면 클라우트 스코어 산출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이 나오는데요…사실 자세히 읽어봐도 어떤 요인들을 고려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나오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항목이 얼마의 가중치로 반영이 되는지는 블랙박스로 싸놓았습니다. 아마도 자신들의 로직에 대한 방어제인 것 같기도 하구요.. 다만, 링크에 대한 클릭율과 클라우트 스코어가 상관도가 높은지 계속 검증한다는 점에서 신뢰할 만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